삼성페이는 삼성전자에서 만든 모바일 결제 서비스입니다.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마그네틱 신용카드의 정보를 전송시켜 결제하는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통신(NFC)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위키백과)


NFC가 필요 없고 MST 기능을 사용하여 NFC 단말기가 없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여기서 MST는 삼성전자가 인수한 루프페이의 기술이라고 합니다.


주변에 삼성페이를 써본 사람은 너무 만족하더라고요.


그러면 NFC와 MST 위주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NFC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근거리 무선통신입니다.


전자태그(RFID) 기술의 일종입니다.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10cm이내의 거리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비접촉 근거리 무선통신이지만 암호화 기술이 적용되어 무선통신 중에도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습니다.


NFC는 태그(유심) + 컨트롤러 칩(Reader/Writer) + RF안테나(코일)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드는 카드 모드(신용카드, 교통카드 등), RFID 리더 모드(광고, 작품 설명 등), P2P 모드(개인 간 데이터 전송, 명함 교환)


P2P모드는 능동 모드로 전력 소모량이 크고 카드 모드는 수동 모드입니다.


모바일 카드, 교통카드, 도어락, 애플페이 등에 사용됩니다.


무선 충전 쪽을 공부하다 보니 NFC 코일과 무선 충전 용 코일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MST란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입니다.


기존의 카드 결제는 카드의 마그네틱 부분에 카드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단말기에 이 마그네틱을 긁으면


자기장이 발생하여 결제가 가능합니다.


삼성페이는 스마트폰에서 이 마그네틱 자기장을 발생하여 결제하는 시스템입니다.


자 이제 삼성페이의 장점을 알아본 뒤 정리해보겠습니다.


삼성페이의 장점


편리성 : 지갑에서 실물 카드를 꺼낼 필요 없이 스마트폰 잠금화면에서 삼성 페이를 열어 카드 선택 후 지문인증 후 바로 사용이 가능


범용성 : 별도의 카드 리더기가 필요 없어 거의 모든 곳에서 사용이 가능


이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카드 가맹정들이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를 사용하고 있어 가능


보안성 : 결제 시 본인의 지문이나 비밀번호를 통해서만 결제가 가능, 결제 시 카드번호 대신 암호화 토큰 사용, 

          

또한 삼성의 보안 솔루션 녹스(KNOX)가 스마트폰을 항시 감시하여 외부의 위협 감지, 

 

감지 시  카드정보를 암호화하여 안정한 공간에 저장 


여기까지는 위키백과에 나와있는 장점이었습니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ATM 입출금도 가능하다.

교통카드 기능(NFC기능 사용)도 가능하다 등이 있고


단점으로는 배터리가 빨리 닳는다는 단점이 있다고 합니다.



정리를 해보면 교통카드, 애플페이 등은 NFC 기술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삼성페이는 MST 기술과 NFC 기술을 함께 사용합니다.


MST 기술을 사용하여 아직 NFC 단말기가 충분히 보급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도 삼성페이로 결제를 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