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의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가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전세계 대상의 위성 인터넷망 구축 프로젝트다. 2020년대 중반까지 1만 2천여 개에 이르는 통신 위성을 발사해 전 세계에 통신속도 1Gbps의 초고속 인터넷을 보급하겠다는 계획이다.
스타링크 프로젝트가 스페이스X에게 엄청난 매출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이유는, 기존의 광통신 인터넷보다 훨씬 짧은 응답시간을 갖기 때문이다.
스타링크를 만드는 비용이 약 100억 달러로 추산되는 가운데, 스타링크로 인한 매출은 연간 300억 달러에서 500억 달러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한다.
사태 초기, 빛 공해 문제에 대해 일론 머스크는 스타링크 위성의 자세를 변경하여 햇빛의 반사량을 최소화하겠다는 해결책을 내놓았는데, 뚜렷한 해결책은 아직 없다.
비슷한 고도에 수만 기에 이르는 인공위성을 배치하겠다는 계획에 대해서 케슬러 신드롬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2020년 11월 14일 한 유튜버의 영상에 따르면 다운로드는 120Mbps~160Mbps 업로드는 14Mbps~16Mbps로 측정되었다. 다운로드 속도는 이미 일반적인 100Mbps급 이더넷보다 빠른 속도를 보여주지만, 업로드는 4G LTE에도 못 미치고있다. 다만, 지연 시간은 15ms 로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나무위키-
스페이스X는 아직 인터넷 연결이 불완전한 세계 각지에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저렴한 가격에 인터넷을 사용하고자 하는 일반적인 시민들도 그 대상이다. 스페이스X는 인공위성 발사 및 서비스를 통한 안정적인 수익은 화성에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고 스타쉽 미션을 진행하기 위해서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
이날 스타링크 위성은 스페이스X의 재사용 로켓인 ‘팰컨9’에 실려서 발사된다. 발사가 성공하면 로켓에 사용된 1단 재사용 부스터인 B1051이 총 8회 재사용되는 기록도 세우게 된다. 이는 팰컨9의 부스터 가운데 가장 많이 재사용된 기록이다. 지금까지 스페이스X가 재사용 로켓 발사에 성공한 건 총 71회다.
스페이스X는 현재 운용 중인 위성을 이용한 스타링크의 베타서비스를 지난해 하반기 미국과 캐나다에서시작했다. 월 사용료는 99달러(약 11만 원)로 책정했다. 스페이스X는 지난해 11월 영국에서 스타링크를 서비스할 수 있는 면허승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스, 독일, 호주에서도 스타링크 사업 승인을 받은 상태다.
스페이스X는 향후 인공위성을 더 많이 쏘아 올리면 인터넷 데이터 전송 속도를 50Mbps에서 150Mbps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 인터넷 평균 전송 속도가 25Mbps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보다 훨씬 빠르다.
국내에서는 삼성SDI가 전고체배터리, LG화학이 리튬황배터리, SK이노베이션이 리튬메탈배터리에 힘을 쏟는 느낌이네요.
이미 전고체 배터리에 대해서는 포스팅했구요 이번 내용은 리튬황 배터리입니다.
리튬황 배터리는 LG화학에서 열심히하고 있다고 했죠?
LG화학은 "이번 비행 테스트는 영하 70도의 낮은 온도와 대기압이 지상 대비 25분의 1수준인 진공에 가까운 성층권의 극한 환경에서도 차세대 배터리인 리튬황 배터리의 안정적인 충방전 성능을 확인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했다.
-> 영하 70도에서 저렇게 안정적인 충방전 성능을 보였다면 대단한 거 같습니다.
리튬황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차세대 배터리 중 하나로 꼽힌다. 양극재에 황탄소 복합체, 음극재에 리튬 메탈 등 경량 재료를 사용해 무게 당 에너지 밀도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1.5배 이상 높은 배터리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가볍고 희귀 금속을 사용하지 않아 가격경쟁력이 뛰어난 것이 장점이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VR은 가상현실로 특정한 환경, 상황을 만들어 시각, 청각, 촉각 등 감각적 체험을 해주는 기술이고
AR은 현실 세계 위에 그래픽이나 영상을 통합하여 체험을 해주는 기술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MR 에 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위키백과입니다.
혼합 현실 ( 混合現實 , Mixed reality , MR )혹은혼성 현실 (Hybrid reality)은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합쳐서 새로운 환경이나 시각화등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특히, 실시간으로 현실과 가상에 존재하는 것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할 때 혼합 현실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레이더(Radar)는 전자기파를 내보내 물체를 감지하고, 물체에 반사된 전파를 분석해 거리나 속도 등을 측정하는 부품이다. 저렴하지만, 물체의 형태를 인식하는 것은 어렵다. 라이다(LiDAR)는 전자기파 대신 레이저를 내보내 물체를 감지하고, 반사된 빛을 분석해 3D 지도로 구현하는 부품이다.
라이다는 레이저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 및 강도를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방향, 속도, 온도, 물질의 농도 등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라이다로 만들어진 3D 지도
라이더 센서 개발 초기에는 360도 회전식 스캔 장비가 주로 개발이 되었지만
현재는 고정형 라이더 센서 개발로 크기, 가격을 내리고 있습니다.
고정형 라이다 센서는 인지 각도가 작지만 크기와 가격에 대한 메리트가 있기 때문에
고정형 (Solid-state) 라이다 센서를 여러군데 부착하기도 합니다,
개발 초기에는 가격이 약 8000만원에 가까웠지만 현재는 약 10만원 수준으로도 떨어졌다고 합니다.
최근 자동차의 로고가 평평하게 바뀌었는데 이는 앰블럼 내부에 라이더 등의 센서를 장착하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최근 카메라 기술이 좋아져서 라이다를 대체하려고 합니다.
기존 카메라로는 악천후에서는 탐지가 불가능했지만 현재는 해상도가 높아져서 단점들이 사라지고 있다고 합니다.
일론 머스크도 라이다가 필요 없다고 하였고
실제로 테슬라에서는 레이더, 초음파센서, 카메라만으로 자율주행을 구현합니다.
또한 라이다로 거리를 대략적으로 아는 장점이 컸는데 렌즈 2개로(스테레오 방식) 거리를 파악하는 기술이 있어 이도 커버 가능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