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링크는 스페이스X의 위성 통신 프로젝트이고 곧 상장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스타링크에 관해서 알아보겠다.

 

일론 머스크의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가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전세계 대상의 위성 인터넷망 구축 프로젝트다.
2020년대 중반까지 1만 2천여 개에 이르는 통신 위성을 발사해 전 세계에 통신속도 1Gbps의 초고속 인터넷을 보급하겠다는 계획이다.

스타링크 프로젝트가 스페이스X에게 엄청난 매출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이유는, 기존의 광통신 인터넷보다 훨씬 짧은 응답시간을 갖기 때문이다.

스타링크를 만드는 비용이 약 100억 달러로 추산되는 가운데, 스타링크로 인한 매출은 연간 300억 달러에서 500억 달러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한다.

사태 초기, 빛 공해 문제에 대해 일론 머스크는 스타링크 위성의 자세를 변경하여 햇빛의 반사량을 최소화하겠다는 해결책을 내놓았는데, 뚜렷한 해결책은 아직 없다.

비슷한 고도에 수만 기에 이르는 인공위성을 배치하겠다는 계획에 대해서 케슬러 신드롬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2020년 11월 14일 한 유튜버의 영상에 따르면 다운로드는 120Mbps~160Mbps 업로드는 14Mbps~16Mbps로 측정되었다. 다운로드 속도는 이미 일반적인 100Mbps급 이더넷보다 빠른 속도를 보여주지만, 업로드는 4G LTE에도 못 미치고있다. 다만, 지연 시간은 15ms 로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나무위키-

 

스페이스X는 아직 인터넷 연결이 불완전한 세계 각지에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저렴한 가격에 인터넷을 사용하고자 하는 일반적인 시민들도 그 대상이다. 스페이스X는 인공위성 발사 및 서비스를 통한 안정적인 수익은 화성에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고 스타쉽 미션을 진행하기 위해서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

ko.wikipedia.org/wiki/%EC%8A%A4%ED%83%80%EB%A7%81%ED%81%AC

 

이날 스타링크 위성은 스페이스X의 재사용 로켓인 ‘팰컨9’에 실려서 발사된다. 발사가 성공하면 로켓에 사용된 1단 재사용 부스터인 B1051이 총 8회 재사용되는 기록도 세우게 된다. 이는 팰컨9의 부스터 가운데 가장 많이 재사용된 기록이다. 지금까지 스페이스X가 재사용 로켓 발사에 성공한 건 총 71회다.

 
스페이스X는 현재 운용 중인 위성을 이용한 스타링크의 베타서비스를 지난해 하반기 미국과 캐나다에서시작했다. 월 사용료는 99달러(약 11만 원)로 책정했다. 스페이스X는 지난해 11월 영국에서 스타링크를 서비스할 수 있는 면허승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스, 독일, 호주에서도 스타링크 사업 승인을 받은 상태다. 


스페이스X는 향후 인공위성을 더 많이 쏘아 올리면 인터넷 데이터 전송 속도를 50Mbps에서 150Mbps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 인터넷 평균 전송 속도가 25Mbps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보다 훨씬 빠르다. 

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43265

 

요금도 터무니 없는 가격은 아니고.... 이제 우리나라가 인터넷 초강국이 아니게 되겠네요.. 진짜 미국에서는 혁신적인 기업이 많이 나옵니다. 부럽네요..

또한 재사용 로켓을 보여주기 방식이 아니라 저렇게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니... 머스크 형님 진짜 대단하네요

 

스타링크 활용성은 너무 좋습니다. 우선 인터넷 환경이 구축되어있지 않은 저개발 국가나 시골에서도 빠른 속도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고요, 또한 바다에서도 인터넷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선박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성이 충분히 올라가면 지연이 없기 때문에 자율주행에도 사용하기 좋은 기술이라고 합니다.

 

또한 최근에 머스크 트위터에서 IPO 관련 언급을 해서 스타링크를 따로 상장하는 기대감도 커져가고 있습니다

2019년 임베디드 기사 실기에서 불합격을 하고 

2020년 재도전하여 합격했습니다.

 

2020년 난이도는 좀 괜찮았습니다.

2019년이 워낙 어려웠고요...

2020년 합격률 궁금하네요

공부는 19년에 열심히 했고 2020년에는 적당히 했습니다.

 

이번에는 안드로이드 리눅스 문제는 거의 안나왔고

대부분 필기문제에서 나오고 C언어 문제가 좀 나왔습니다.

 

임베디드 기사 자격증이 좀 더 활성화되어서 난이도도 적당해지고 시험 횟수도 늘었으면 좋겠네요

임베디드 기사 응시자분들 화이팅입니다~!

'전자공학 > 임베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요타 급발진 분석 BARR 그룹  (0) 2021.08.25
임베디드 공부 사이트  (1) 2021.08.24
2019년 제6회 임베디드 기사 실기 후기  (2) 2021.01.05
디바이스 드라이버 (Device Driver)  (0) 2020.11.10
MCU 구조  (0) 2020.09.02

난이도가 매우 높았다..

합격자 1명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실기 문제는 안드로이드, 리눅스에 관한 문제가 좀 나왔다.

그래서 좀 어려웠다....

그냥 필기문제랑 비슷하면 무난했을텐데..

필기랑 너무 엇나가는 느낌

아직 난이도 조절을 못하는듯..

공부도 열심히 했었는데 ㅠㅠ

 

'전자공학 > 임베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베디드 공부 사이트  (1) 2021.08.24
2020년 제7회 임베디드 기사 실기 합격 후기  (15) 2021.01.07
디바이스 드라이버 (Device Driver)  (0) 2020.11.10
MCU 구조  (0) 2020.09.02
스타트업 코드  (0) 2020.04.28

FinFET에 관해서 포스팅을 했었는데 요새 GAAFET가 화제인 거 같더라고요!

kkhipp.tistory.com/59?category=799458

 

FINFET 구조, 특징

이번에는 FINFET(핀펫)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FINFET은 구조가 물고기 지느러미(FIN)와 비슷하다하여 지어진 이름입니다. 출처 : http://www.samsungsemiconstory.com/1353 기본적으로 FET는 GATE의..

kkhipp.tistory.com

GAA에 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4나노 공정 밑으로 가면서 FINFET으로도 한계(동작전압 내리는 데에 한계)가 있어서 GAAFET이 나왔습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FinFET은 게이트가 채널을 3면을 만나고 있지만 GAA는 4면을 모두 만나고 있어 표면적이 더욱 늘어났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MBCFET(Multi Bridge Channel FET)은 더 나아가 GAA의 채널이 얇기 때문에 전류에 한계가 있어 이를 더 넓혀 개선한 구조입니다.

 

 

 

여기서 GAA 구조의 장점을 더 설명해보자면

채널의 수가 늘어나도 FET가 차지하는 하단부 면적은 늘어나지 않아 소형화에 용이하고 채널의 폭과 수에 대한 컨트롤이 용이하기 때문에 고객사 대응에 더 좋습니다.

 

 

파운더리 산업에서 3나노에 빨리 대응하여 삼성전자의 점유율이 더욱 올라갔으면 좋겠네요! 

 

참고

www.samsungsemiconstory.com/2171

 

차세대 반도체를 위한 차세대 공정, 'GAA 구조' 트랜지스터

인공지능(AI)부터 5G,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자동차까지 반도체는 어느새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가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는데요. 이렇게 반도체 기술이 고도화되고 복잡해지면서 그

www.samsungsemiconstory.com

news.skhynix.co.kr/1805

 

미세화는 이제 끝이라고? 4차원 GAA가 뜬다

2018.10.03 | by 장은지 반도체 기술력의 상징이었던 미세화(Scaling) 공정의 끝은 어디일까요? 반도체 발전을 추동해온 '무어의 법칙'이 더는 유효하지 않은 격변의 시대,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은 앞

news.skhynix.co.kr

 

'전자공학 > 반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공정에 따른 변화와 문제  (2) 2018.11.29
Low-K, High-K란?  (0) 2018.11.27
모빌리티 Mobility  (3) 2018.11.14
Degenerate Nondegenerate에 대해서  (2) 2018.11.13
Body effect란?  (2) 2018.11.01

코로나 때문에 비접촉 체온계를 널리 활용하고 있다.

비접촉 체온계도 있고 열화상 카메라도 있고 그냥 카메라처럼 생긴 체온계도 있고 다양하다.

이런 체온계는 모두 유효한 체온을 보여줄까? 

물론 검증하고 인증을 다 받았겠지만 궁금해서 원리를 찾아보겠습니다.

 

 

비접촉 체온계

모든 동물이나 사람은 적외선을 방출합니다.

이 비접촉식 체온계는 이 적외선을 흡수하여 적외선 에너지를 열 수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적외선이 물체의 열에 따라 에너지가 다른점을 이용한 것이죠. 

 

 

열화상 카메라

 

FLIR 유명한 브랜드입니다!

열화상 카메라 역시 비접촉 체온계와 같이 적외선을 원리를 이용합니다.

열화상 카메라 = 적외선 센서를 활용한 카메라!

모든 물체는 절대온도 영도 보다 높으면 적외선을 방출합니다.

그리고 체온 부근에서는 적외선을 방사하는데 물체의 온도가 높을수록 적외선 파장이 짧아진다.

이렇게 적외선의 파장이 온도와 관련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합니다.

온도가 높으면 흰색, 붉은색, 낮을수록 검정, 보라를 띤다.

 

 

결론적으로 비접촉식 체온계, 열화상 카메라 모두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합니다.

그리고 이는 확실한 과학적 원리가 있고 검증을 받은 제품이면 체온을 측정하는데에 이상이 없다는 결론입니다.

하지만 최근 비접촉식 온도계를 조사해보니 제대로 검증을 받지 않은 가짜 체온계들이 널리 판매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측정 방식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추운 겨울에 갑자기 비접촉식 체온계로 측정하면 32도가 나오기도 합니다.

 

코로나로 열에 민감한 이 시국에 정확한 제품과 정확한 방법으로 측정이 이뤄졌으면 좋겠네요!

 

 

막스 플랑크의 복사 법칙 : 물체가 복사하는 전자기파의 파장이 짧으면 에너지가 높다.

 

'최신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파이(DeFi)와 NFT  (0) 2021.05.16
스페이스X 스타링크  (0) 2021.02.12
차세대 배터리 리튬황전지  (0) 2020.09.26
꿈의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0) 2020.09.20
혼합 현실 MR(Mix Reality) (+ 확장 현실 XR??)  (0) 2020.08.16

장치 드라이버 라고도 불리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영어: device driver)는 특정 하드웨어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커널의 일부분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컴퓨터를 구성하는 다양한 입출력 장치마다 각각 장치드라이버가 프로그램 되어 커널에 통합되어 실행된다. 높은 수준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이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장치드라이버는 커널의 일부분이기는 하나 커널과 통합되는 것은 처음부터 해당 드라이버 프로그램 코드소스가 커널 전체 소스에 포함되어 컴파일되는 경우도 있고, 그리고 별도로 컴파일된 파일(윈도의 *.sys, 리눅스의 *.o)의 형태로 존재하고 부팅 시 또는 필요 시 해당 파일이 로드되어 커널과 통합되기도 한다.

드라이버는 흔히 컴퓨터 버스, 또는 하드웨어와 이어진 통신 하위 시스템을 통해 장치와 통신한다. 요청하는 프로그램이 드라이버의 명령어를 호출하면, 드라이버는 장치에 명령어를 전달한다. 장치가 드라이버에게 데이터를 되돌려 주면, 드라이버는 원래 요청한 프로그램의 명령어로 데이터를 다시 전달한다. 드라이버는 하드웨어에 의존하며 특정한 운영 체제를 따른다. 이러한 드라이버는 비동기 시간에 의존하는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인터럽트를 다룰 수 있다.

장치 드라이버는 흔히 장치 칩의 레지스터에 접근하여 하드웨어를 제어하며 하드웨어와 주변 기기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중간 다리 역할을 한다.

 

ko.wikipedia.org/wiki/%EC%9E%A5%EC%B9%98_%EB%93%9C%EB%9D%BC%EC%9D%B4%EB%B2%84

 

장치 드라이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장치 드라이버/제어기(문화어: 장치구동기, 장치구동프로그람)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영어: device driver)는 특정 하드웨어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커널의 일

ko.wikipedia.org

위키백과에서 매우 잘 설명해줬네요.

결국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널의 일부분!

이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해했으니 더 알아보겠습니다.

 

 

문자 디바이스 드라이버 Character device driver (키보드, 마우스

- 일반 파일과 가장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 응용 프로그램은 open(), close(), read(), write() 등의 함수를 사용하여 디바이스 파일들을 다룸 

 

블록 디바이스 드라이버 Block device driver (디스크 드라이버)

-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는 구조

 

네트워크 디바이스 드라이버 Network device driver (이더넷, 블루투스, 와이파이)

 

 

리눅스에선 /proc/devices 에서 확인 가능 

확장자 - .sys 윈도우, .ko 리눅스

 

그 외..

블루 스크린의 대부분의 원인이 디바이스 드라이버에서 비롯된다.

(운영체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신중히 작성되어야 한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리눅스 커널 소스의 70%를 차지한다. 

 

 

 

 

차세대 배터리하면 전고체배터리, 리튬황배터리부터 생각이 납니다.

국내에서는 삼성SDI가 전고체배터리, LG화학이 리튬황배터리, SK이노베이션이 리튬메탈배터리에 힘을 쏟는 느낌이네요.

 

 

꿈의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요새 배터리가 아주 핫하죠? 배터리 기사를 보다보면 종종 나오는 단어가 있습니다. 오늘은 전고체 배터리(All-solid-state battery)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고체 배터리에 대해 알기 전에 리튬이

kkhipp.tistory.com

이미 전고체 배터리에 대해서는 포스팅했구요 이번 내용은 리튬황 배터리입니다.

리튬황 배터리는 LG화학에서 열심히하고 있다고 했죠?

 

LG화학, 국내 최초 '리튬황 배터리'로 최고도 비행 성공

국내 최초 리튬황 배터리로 무인기 비행 테스트"2025년 이후 리튬황 배터리 양산 계획"LG화학이 국내 최초로 리튬황 배터리를 활용한 무인기 최..

biz.chosun.com

LG화학은 "이번 비행 테스트는 영하 70도의 낮은 온도와 대기압이 지상 대비 25분의 1수준인 진공에 가까운 성층권의 극한 환경에서도 차세대 배터리인 리튬황 배터리의 안정적인 충방전 성능을 확인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했다.

-> 영하 70도에서 저렇게 안정적인 충방전 성능을 보였다면 대단한 거 같습니다.

 

리튬황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차세대 배터리 중 하나로 꼽힌다. 양극재에 황탄소 복합체, 음극재에 리튬 메탈 등 경량 재료를 사용해 무게 당 에너지 밀도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1.5배 이상 높은 배터리다.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가볍고 희귀 금속을 사용하지 않아 가격경쟁력이 뛰어난 것이 장점이다.

-> 리튬황 배터리의 장점이네요. 에너지 밀도 높다. 가볍다. 가격경쟁력이 뛰어나다.

    양극재에는 황(지구에 풍부하게 존재), 음극재에는 리튬 메탈을 사용하여 원가를 절감하기에 좋습니다.

    하지만 리튬메탈의 안정성 문제도 있긴 합니다.

 

리튬황의 단점은 수명이 짧다. 양극소재인 황이 전기전도성이 낮다. 전해액이 많이 필요하다. 입니다.

따라서 전해액과 양극의 도전재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전해액이 많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아래 기사에도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리튬 황 배터리의 황이 방전되고 난 뒤 남은 '리튬 폴리 설파이드'(Lithium poly sulfide)라는 물질이 빠른 충·방전을 가능하게 하는데, 전해액을 줄이면 리튬 폴리 설파이드의 용해량이 감소해 용량과 출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음극 소재인 리튬 금속이 전해액을 분해하는 현상도 전해액 함량이 낮을수록 심해진다.

 

위의 단점들이 있다고 하지만 에너지 밀도의 장점이 너무 강력하죠.

따라서 아래와 같이 위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전해액 사용량 4배 줄인 리튬-황 전지 개발

www.yna.co.kr/view/AKR20200625147300063

 

에너지 밀도 높인 차세대 리튬 황 전지 기술 개발 | 연합뉴스

에너지 밀도 높인 차세대 리튬 황 전지 기술 개발, 박주영기자, 산업뉴스 (송고시간 2020-06-25 16:29)

www.yna.co.kr

 

 

 

 

다음은 리튬에어, 나트륨, 리튬메탈 배터리에 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참고로 배터리 유튜버 추천입니다.

 

엔지니어TV

엔지니어가 분석하여 설명하는 경제, 주식, 인생, 놀이, 사고, 미래 - 산업분석 : 리튬이온 배터리, 전기차, 에너지 - 문의 : lifeengineer999@gmail.com (멤버십 경우 유튜브 아이디로 문의해야 답장 가능)

www.youtube.com

 

요새 배터리가 아주 핫하죠?

배터리 기사를 보다보면 종종 나오는 단어가 있습니다.

오늘은 전고체 배터리(All-solid-state battery)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고체 배터리에 대해 알기 전에 리튬이온 배터리와 비교하며 설명하면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리튬이온 배터리에 관해 간단히 설명하겠습니다.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200621/101619944/1

리튬이온 배터리는 전해질이라는 액체가 있고 중간에 분리막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전해질이 액체여서 발생하는 위험성은 다음과 같다.

 

- 액체 전해질이 가연성이 있는 물질이다 -> 화재 위험성

- 양극과 음극을 물리적으로 확실히 분리시키지 못한다. -> 쇼트 위험성

- 외부 충격에 의해 누출될 위험있다.

- 열에 약하다.

 

하지만 이 전고체 전지는 가연성도 없고, 물리적으로 양극 음극을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습니다. (고체이기 때문)

전고체 배터리의 장점들을 정리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폭발 위험성이 거의 없다.

- 배터리 수명이 길어진다. 

- 열에 의한 영향이 적다.

- 에너지 밀도가 높다. (주행거리가 길어진다.)

- 공정이 단순화된다.

 

 

한국에서도 삼성SDI 등 전고체 배터리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용화는 역시 쉽지 않네요. 2025년을 생각한다고 합니다.

도요타에서는 파나소닉과 합작해 상용화를 2022년을 생각한다고 하네요!

 

 

 

추후에 또 다른 차세대 전지인 리튬황 전지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MCU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코드를 읽고

읽은 프로그램을 처리하고 

결과를 Output 에 출력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또는 MCU(Micro Controller Unit)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입출력 모듈을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를 말한다.

CPU 코어, 메모리 그리고 프로그램 가능한 입/출력을 가지고 있다. NOR 플래시 메모리[1][3], EPROM[2] 그리고 OTP ROM등의 메모리를 가지고 있어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코딩하고 이 기계어 코드를 써 넣는다. 기계어 코드가 실행되기 위한 변수나 데이터 저장을 위해 적은 용량의 SRAM을 가지고 있다. 기타 칩에 따라 EEPROM을 내장하기도 한다.

MCU는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디자인되었으며 임베디드 시스템에 널리 사용된다. 개인용 컴퓨터가 다양한 요구에 따라 동작하는 일반적인 일에 사용된다면, MCU는 기능을 설정하고 정해진 일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장치 등에 장착되어 동작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성능이 PC에 비해 낮고 형상도 다르다. 한 번 프로그래밍하면 코드를 나중에 바꿀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냉장고, 전자레인지 등의 기기에 사용된다.

 

-위키백과

 

 

MCU 는 CPU 메모리 보조 모듈로 구성

 

메모리와 CPU는 명령 & 데이터

 

메모리 : ROM(Flash rom, EEPROM) 프로그램 저장   /  RAM 임시저장 데이터 데이터 읽고 쓰는 장치

CPU : ALU(산술장치 ), Register(임시저장 데이터 ), Shifter

보조모듈 : SPI, UART, I2C, ADC, DAC, 타이머

 

 

 

Program Memory(Flash Memory) : 프로그램 명령어 저장

Core(CPU) : 명령어 수행

Data Memory(SRAM) : 명령어 수행한 임시데이터 저장 

 

 

 

SRAM, 변수나 스택등에서 사용하는 읽기, 쓰기 전용 메모리

Flash ROM,  프로그램 굽는 용도 읽기전용의 상수 데이터도 저장함

EEPROM 읽고 쓰기가 가능하지만 속도가 느리며 횟수제한이 있으므로 변경하지 않는 설정값 저장 

DataFlash 플래시 메모리 중의 일부분을 읽고 쓰기 가능하도록 만든 것으로써 일부 제품만 이런 기능이 있다

VR(가상 현실), AR(증강 현실)만 알고 있었는데 MR이라는 단어가 있더군요??

 

간단하게 말하자면 VR은 가상현실로 특정한 환경, 상황을 만들어 시각, 청각, 촉각 등 감각적 체험을 해주는 기술이고

AR은 현실 세계 위에 그래픽이나 영상을 통합하여 체험을 해주는 기술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MR 에 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위키백과입니다.

혼합 현실 ( 混合現實 , Mixed reality , MR ) 혹은 혼성 현실 (Hybrid reality)은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합쳐서 새로운 환경이나 시각화등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특히, 실시간으로 현실과 가상에 존재하는 것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할 때 혼합 현실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https://www.how2shout.com/what-is/difference-between-vr-mr-and-ar.html

VR의 몰입도, AR의 현실감의 장점을 잘 뽑아낸 기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VR은 몰입도는 좋지만 현실과 상관없는 허상이죠. AR은 몰입도가 떨어집니다.

MR의 단점은 처리할 데이터 용량이 크다는 단점이 있겠네요. 

 

혼합현실의 시장규모는 급격히 성장하고 있고 마이크로소프트가 주도한다고 합니다. 

 

 

https://medium.com/@northof41/what-really-is-the-difference-between-ar-mr-vr-xr-35bed1da1a4e

추가로 XR은 VR AR MR을 아우르는 가장 큰 개념이라고 합니다.

 

'최신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세대 배터리 리튬황전지  (0) 2020.09.26
꿈의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0) 2020.09.20
라이다 LIDAR 센서  (0) 2020.08.09
하이퍼루프(Hyperloop)  (0) 2019.12.01
PID 제어  (0) 2018.11.28

+ Recent posts